본문 바로가기

고체전자공학2

다이아몬드 격자구조 (Diamond Lattice) 그리는 방법 자세히 다이아몬드 격자구조 (Diamond Lattic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한다. 다이아몬드 격자구조 그리는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히 설명한 후, 충진율을 구하는 것 까지 다뤄보려고 한다. 격자 구조를 알기 위해서는 결정에 대해 알아야한다. 결정에 대해 자세히 배우는 곳은 재료공학과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간단하게만 다루려고 한다. 본 포스팅에서 다이아몬드 격자구조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도 반도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material이 실리콘(Si)이고 실리콘이 다이아몬드 crystalline structure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결정은 격자와 기저를 이용하여 해석이 가능하다. 결정(crystal) = 격자 (lattice) + 기저 (basis)이기 때문이다. 결정이란 3차원 원자 구조에서.. 2021. 6. 25.
고체전자공학이란? 배우는 이유 고체전자물리개론은 반도체 소자를 배우기 위한 기초라고 보면 된다. Ben G. Streetman and Sanjay Banerjee의 Solid State Electronic Devices (고체전자공학)를 참고하여 포스팅할 예정이다. 실생활에 반도체는 없어서 안될 존재이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휴대폰만 봐도 그 안에 굉장히 많은 반도체가 존재한다. 스마트 폰 안에 들어있는 칩 중 하나인 AP chip에만 해도 수십~ 수백억 개의 트랜지스터가 내장되어 있다. 최근 나온 애플의 A14 Bionic에는 약 118억 개의 트랜지스터가 내장되어 있다고 한다. 스마트폰의 크기는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는데 성능이 향상되기 위해서 직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이다. 뉴스에서 보.. 2021.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