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 PWM DC-DC converter 와 linear, switching regulator 전력전자 공학이란 SiC, GaN과 같은 전력용 반도체를 활용하여 전력을 변환 및 제어하는 학문이다. 전력변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력용 반도체를 사용하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전력용반도체)에서 다뤘다. 전력을 변환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4가지 case로 나눌 수 있다. 크게 직류(DC)와 교류(AC)로 나뉘기 때문에 AC-AC converter인 Cyclo converter, AC-DC converter인 rectifier(정류기), DC-DC converter, DC-AC converter인 inverter로 나눌 수 있다. 참고로, Cyclo converter가 있긴 하지만 그렇게 효과적이지 않아 보통 Rectifier와 inverter를 직렬로 연결하여 AC-AC 전력변환을 한다고 한다.. 2021. 7. 6. 취준생 면접보고 5만원 면접수당 받은 후기,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경기도에 거주 중인 청년이라면, 1번 면접보고 5만원 면접수당을 받을 수 있다. 1인당 1년에 최대 6개의 기업에 대해 면접 수당을 신청할 수 있고 총 30만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을 검색하면 나오는 홈페이지에서 면접 수당을 신청하면 된다. 1년에 3회에 나눠 신청을 받는다. 현재 1차 신청기간은 끝난 상태이며 1차 신청에 대한 결과가 최근에 나왔다. 결과가 너무 안나와서 전화해서 문의해보니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청한 날로부터 60일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지원 자격에대해 간단 확인을 먼저 해보면 된다. 면접을 볼 때 경기도민이었는데 신청하는 당일에는 이사를 가서 경기도민이 아니라면, 신청할 수 없다고 한다. 이 부분을 제외하고는 생각보다 지원 자격은 널널한 편이고 웬만하면 면접.. 2021. 7. 5. 전력용 반도체(WBG) GaN 모스펫과 SiC 모스펫 비교 우리가 알고있는 반도체는 보통 Si(실리콘)으로 만든다. 그래서 고체전자공학에서도 Si의 격자구조 등에 대해 자세히 배운 것이다. 기존의 Si반도체를 넘어서 전력용 반도체라고 미래의 반도체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전력 반도체(Power semiconductor)는 전기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직류와 교류 변환, 주파수와 전압 변환 등의 제어를 수행하며 스마트폰, 가전제품,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소자이다. 또한, 전력용 반도체는 기존의 Si 반도체보다 Band gap(Eg)이 더 커서 Wide Band Gap(WBG)반도체라고도 불린다. Band Gap이란 energy band diagram에서 conduction band(Ec)와 valence band(Ev)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Wi.. 2021. 7. 4. 반도체란? (semi-conductor) 진성(intrinsic), 외인성(extrinsic) 차이 고체전자공학을 배우는 목적은 바로 반도체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반도체 강국이기 때문에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 ds부문 혹은 sk하이닉스에 취업하고자 하는 사람도 많다. 반도체 회사에 지원하기 때문에 면접에서 반도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도 많이 나온다고 한다. 그럼 반도체(semi-conductor)란 무엇일까? 도체와 부도체 중간라고 대답하면 곤란하다.. 결론부터 말하고 부연 설명을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내 생각에는 다음과 같이 답변하면 반도체를 가장 잘 설명한, 100점짜리 답변이라고 본다. Insulator에 가까운 intrinsic 반도체에 donor와 acceptor를 doping함으로써 흐르는 전류의 level을 control할 수 있는 것이다. semi conductor라고 부르는 이유는 ex.. 2021. 7. 2. 쵸크랄스키법(Czochralski) 원리와 예제 이전 포스팅에서 격자구조, 그 중에서 다이아몬드 격자구조에 대해 자세히 다뤘다. 하나의 Si atom이 인접한 4개의 Si atom과 똑같은 크기와 각도를 갖고 3차원적으로 공유 결합을 한다는 것이었고, 그리는 방법까지 알아보았다. 여러 구조가 있는데 그 중에 다이아몬드 격자구조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은 바로 실리콘(Si)이 다이아몬드 격자구조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관심사는 반도체이고 반도체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material)가 실리콘이다. 실리콘의 구조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제는 실리콘을 어떻게 성장시킬지 실리콘 성장 방법(Si growth)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반도체에 관심이 있다면 반도체를 모래로 만든다는 이야기를 한번쯤 들어봤을거다. 그 이유는 바로 위의 화학식을 통해 설명할 .. 2021. 6. 29. 이전 1 2 3 4 다음